Innovation & Tech

ETH 재단은 Protocol 업데이트 002에서 분산 스토리지 아키텍처(DAS)의 연구·도입에 초점을 맞춘다: PeerDAS, BPO 파라미터 포크, Glamsterdam 네트워크 최적화, 그리고 멤풀 샤딩. 목표는 탈중앙성과 보안을 유지하면서 데이터 처리량을 높여 L2 및 롤업의 비용을 낮추고 효율을 개선하는 것이다.

요약: 본 Innovation and Tech 글은 본 업데이트가 ETH 확장성에 미치는 영향을 개요, PeerDAS, BPO, Glamsterdam, 멤풀 샤딩, 차세대 DAS의 여섯 축에서 해설하고, 핵심 마일스톤과 리스크 포인트를 정리한다.

ETH Protocol Update 002 개요

공식 요약은 세 가지 확장 주축을 제시한다:

  • Fusaka가 PeerDAS를 도입, 메인넷에서 도달 가능한 blob 용량을 블록당 목표 6개에서 48개로 확대.
  • “Blob-Parameter-Only”(BPO) 포크 채택으로, 메인넷의 blob 목표와 상한을 필요에 따라 점진적으로 상향.
  • Glamsterdam은 더 진보한 네트워크 기술로 PeerDAS 설계를 재구성해 추가 확장을 도모.

동시에 팀은 데이터 규모가 커질수록 탈중앙성과 조합 가능성을 유지하기 위해 멤풀 샤딩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Register on JuCoin

PeerDAS와 blob 확장

PeerDAS는 데이터 가용성 샘플링(DAS)을 P2P 전파 심도와 통합해, 일반 노드가 샘플링으로 blob 가용성을 검증할 수 있게 한다. 이로써 하드웨어 요구를 크게 높이지 않고 블록당 6→48 blob로의 도약을 뒷받침하며, DA(데이터 가용성) 공급을 크게 늘린다. ETH에 대한 직접 효과는 L2 제출 비용 하락, 대역폭 압력 관리 가능, 사용자 수수료와 확정 지연 개선이다. 커뮤니티 연구는 48 blob 목표에서 UOPS(user ops)와 전체 처리량의 유의미한 향상을 추정한다.

개발자와 L2에 대한 의미

L2 팀에는 데이터 제출 혼잡 창을 단축하고 배치·결제의 안정성을 높여 준다. 애플리케이션 개발자에게는 ETH 상의 calldata/blob 비용 구조 변화가 더 많은 오프스테이트/압축 방안의 상용화를 자극해, 거래·소셜·게임 등 고빈도 앱에 유리하게 작용한다.

BPO 포크와 대역폭 최적화

BPO(Blob-Parameter-Only)는 target, max, baseFeeUpdateFraction 등 blob 파라미터만 조정하는 경량 포크 프레임워크이며, 점진적 P2P 대역폭 최적화가 수반된다. 확장 속도를 실측 네트워크 데이터에 연동해 합의/실행 레이어 교란을 줄이면서, 가정용 노드의 참여를 유지한다.

점진적 증설의 거버넌스 함의

BPO 하에서는 클라이언트와 연구팀이 메인넷 혼잡도, 노드 대역폭 분포, L2 수요에 맞춰 “작은 걸음의 빠른 반복”을 할 수 있어, 일회성 “대도약” 업그레이드의 위험과 조정 비용을 피한다.

Glamsterdam: 네트워크 스택과 PeerDAS의 다음 단계

로드맵은 Glamsterdam에서 더 발전된 네트워크 기술을 도입해 PeerDAS를 재설계·고도화하고, Fusaka의 연구 성과를 메인넷 업그레이드 경로로 공학적으로 이식할 것을 제안한다(후속 로드맵과 병행). 이는 연구에서 제품화된 온체인 역량으로 넘어가는 ETH의 핵심 전환을 뜻한다.

추적 가능한 마일스톤

Fusaka/후속 테스트넷의 blob 전파 성공률, 클라이언트 대역폭·CPU 사용 곡선, 48→그 이상 목표에 대한 안전 마진 평가, L2의 평균 거래당 데이터 비용 추세를 관측하라.

ETH Protocol Update 002: DAS Scaling and PeerDAS

멤풀 샤딩(Mempool Sharding)

데이터 규모가 커짐에 따라 blob 트랜잭션을 샤드별 서브풀로 분산하면 전역 브로드캐스트 압력을 낮추고, 뜨거운 구간 혼잡을 완화하며, DAS의 샘플링 검증과 결합해 “샤딩된 전파 + 샘플 검증”의 시너지를 이룬다. 이는 단일 노드 병목을 방지하고 개방 접근성과 검열 저항을 유지한다.

설계 포인트

합리적인 샤딩/라우팅은 노드가 전역 보기를 갖지 않아도 포함·포워딩 결정을 내리게 해야 하며, 샤드 간 재전송과 일관성 검증을 제공해 “샤드 고립”을 방지해야 한다. 이에 대한 구체 네트워크 계층 설계가 연구·컨퍼런스에서 제시되었다.

차세대 DAS: 연구 전망

연구팀은 더 높은 차원의 코딩·샘플링·네트워크 공조 스킴을 평가 중으로, blob 처리량을 계속 높이고 검증 비용을 낮리는 것을 목표로 한다. 장기적으로는 검증자 참여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각종 롤업에 더 저렴하고 안정적인 DA 레이어를 제공해 “데이터 레이어로서의 이더리움” 내러티브에 공학적 근거를 제공한다.

리스크와 주의점

파라미터 증설과 대역폭 최적화가 동기화되지 않으면 일부 ETH 노드가 이탈하거나 동기화가 느려질 수 있다. PeerDAS 도입은 샘플링 메커니즘에 대한 적응형 공격을 막기 위해 다중 클라이언트 일관성·공격 내성 검증을 통과해야 한다. 멤풀 샤딩은 강한 적대 모델에서도 견딜 수 있는 신규 라우팅·일관성 복잡도를 도입한다. 또한 빈번한 소규모 BPO 업그레이드는 클라이언트와 상하류 생태계에 더 높은 조정 요구를 제기한다. 전반적으로 확장 페이싱은 공식 테스트넷 지표, 클라이언트 릴리스, 서드파티 감사, L2 데이터 비용 곡선에 기반해야 한다.

FAQ

이번 업데이트가 ETH에 중요한 이유는?

blob 확장과 네트워크 엔지니어링을 실행 가능한 경로에 결합해, 보안·탈중앙성을 지키면서 L2와 애플리케이션에 용량 보너스를 제공한다.

PeerDAS는 전통적 DAS와 무엇이 다른가?

P2P 전파와 일체 설계되어, 노드가 전체 가져오기 없이 샘플 검증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그 결과 더 높은 blob 목표를 지원하면서 탈중앙화 문턱을 유지한다.

BPO가 생태계를 자주 흔들지 않나?

BPO의 소규모 파라미터 단계는 “도미노 효과” 위험을 줄인다. 변경은 blob 차원에 국한되고, 메인넷 실측 데이터로 의사결정한다.

Glamsterdam은 언제 효과가 보이나?

코어 클라이언트와 테스트넷 진척을 따르라. 사용자에게 가장 직관적인 신호는 L2 데이터 수수료와 혼잡 지표의 하락이다.

멤풀 샤딩이 거래 가시성을 떨어뜨리나?

공개 검증 가능성을 유지하면서 샤딩 전파하는 것이 목표다. 재방송·샤드 간 검증을 통해 공정 접근과 일관성을 유지한다.

핵심 요약

ETH 업데이트 002는 PeerDAS, BPO, Glamsterdam의 세 축을 고정하고, 멤풀 샤딩 연구로 보강한다.

PeerDAS는 blob을 블록당 6→48로 끌어올리는 것을 목표로 하며 L2 데이터 비용과 ETH의 DA 공급을 직접 개선한다.

BPO는 확장을 실측 네트워크 데이터에 연동해 합의/실행 레이어의 교란을 최소화하고, 가정용 노드 참여를 유지한다.

Glamsterdam은 연구 성과를 제품화해 메인넷 장기 처리량 업그레이드와 로드맵 진전을 지원한다.

멤풀 샤딩과 차세대 DAS 연구는 “더 저렴하고 더 안전한” 데이터 레이어를 지향한다.

Explore More From JuCoin:JuCoin Exchange |Twitter/X |Telegram |Discord |Ghost

Neason Oliv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