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nnovation & Tech

“온체인 데이터의 실시간화·용이화”를 중심으로 HubbleAI는 블록체인 거래 로그를 구조화된 거래 데이터로 변환하고, AI-네이티브 대시보드·API·검색으로 진입 장벽을 낮춘다. “온체인 블룸버그”를 목표로 하며, 거래·컴플라이언스·RWA의 필수 데이터 영역에서 약 35개 B2B 고객에게 서비스 또는 협의를 진행 중이다. 본 Innovation and Tech 글은 제품 포지셔닝, 기술 아키텍처, 시나리오·생태 파트너십, B2B 진척, 로드맵·리스크 관점에서 HubbleAI가 온체인 로그를 질의 가능한 실시간 거래 데이터로 바꾸고 “온체인 블룸버그” 핵심 인프라로 나아가는 과정을 해부한다.

요약: HubbleAI는 “온체인 데이터 & AI 플랫폼”을 구축하며, 실시간 인덱싱 + Text2SQL/RAG로 온체인 로그를 질의·오케스트레이션 가능한 거래 데이터로 전환한다. 트레이더와 기관에 AI 대시보드·API·검색을 제공하고 다수 B2B 파일럿을 통과했으며, 온체인 금융 인프라로 포지셔닝한다.

HubbleAI란?

HubbleAI의 핵심 포지션은 “온체인 데이터 & AI 플랫폼”이다. 한쪽은 Solana, BSC, Base 등 주요 네트워크의 실시간 인덱스에 연결하고, 다른 쪽은 자연어 질의·시각화를 거래·리스크·컴플라이언스 워크플로로 보낸다. 공식 Medium은 “Text2SQL/RAG 시스템이 API/MCP로 패키징되어 AI Agent 시나리오를 지원”한다고 밝히며, 퀀트·지갑/트레이딩 봇·스테이블코인·RWA 솔루션 매트릭스를 제공한다. SQL 우선 도구와 달리, HubbleAI는 “블록체인 이해”를 “자연어로 구조화된 데이터 획득” 패러다임으로 전환한다.


Register on JuCoin

HubbleAI가 해결하는 페인포인트

실시간성: 과거형 데이터웨어하우스는 초단위 시세·자금 흐름 추적에 취약하다. HubbleAI는 “서브-세컨드 지연”의 실시간 신호를 내세운다.

사용성: 전통 플랫폼은 DuneSQL 등 문법이 필요하다. HubbleAI는 자연어→SQL 자동 생성을 지원해 학습비용을 낮춘다.

시나리오화: Funding Source 추적, 텔레그램 실시간 신호, 지갑 PnL, 컴플라이언스 모듈 등을 제품으로 패키징한다.

기술 아키텍처 & 데이터 엔진

바닥 구성은 “실시간 인덱싱 + 구조화 모델 + AI 질의 레이어”다. 실시간 인덱싱은 멀티체인 거래/이체 로그를 수집·정규화한다. 구조화 모델은 주소·금액·경로·체결·청산·포지션 등을 질의 가능한 테이블로 매핑한다. AI 질의 레이어는 Text2SQL/RAG로 질문을 최적 질의 계획으로 변환하고 시각화/ API 응답을 반환한다. 웹사이트는 Solana, BSC, Base를 지원하며 Ethereum/Tron/Hyperliquid “준비 중”임을 표시한다.

왜 “먼저 SQL, 그다음 데이터”가 아닌가?

Dune 같은 플랫폼은 강력하지만 본질적으로 “SQL 작성→실행→시각화” 흐름으로, 비개발 팀에 허들이 있다. HubbleAI는 Text2SQL/RAG로 “먼저 묻고” 시스템이 자동으로 질의를 생성·구조화 결과를 반환하게 해 트레이딩 데스크·컴플라이언스의 리듬에 맞춘다.

“준 실시간”은 어떻게?

사이트는 “Real-Time Indexing, 서브-세컨드 지연”을 강조하며 “맞춤 API, 집계 DEX 스트림, 자금 흐름 추적”을 제공한다. 다중 포맷 데이터 납품으로 엔터프라이즈 스택에 직결한다. 이는 퀀트 팩터, 카피/봇 트레이딩, 리스크 알림, 스테이블코인 모니터링에 속도 우위를 준다.

제품 & 사용 시나리오

트레이딩 팀용으로 AI 대시보드·API는 “실시간 신호 포착 + 구조화 팩터 출력”에 초점: 주소 클러스터 체결/주문 밀도, 프로토콜 간 차익 루트, Jupiter 리밋오더 밴드의 매수/매도 압력 구독. 퀀트 데스크는 전략 조건을 “이상 패턴 + 임계값 + 알림”으로 패키징해 봇으로 푸시.

  • AI Agent/리서처: “지난 1시간 특정 풀 순유입” 같은 온체인 팩트를 자연어로 질의하고 원클릭 차트/리포트를 생성.
  • 지갑/트레이딩 봇: 실시간 데이터 푸시·지갑 PnL에 접속해 시세/청산 레일 자가 구축 비용을 절감.
  • 스테이블코인 & 컴플라이언스: Funding Source 경로 추적, RWA 담보율/청산선 모니터링, 프로토콜 간 자금 흐름 그래프.
  • 리서치 & 실행 효율: 사이트는 “리서치 3.5×, 실행 2.8×, 분석시간 −65%” 지표를 제시한다.

전통 SQL 플랫폼과의 보완

HubbleAI는 모든 SQL 업무를 대체하지 않는다. “신속 탐색·실시간 의사결정”의 고빈도 구간을 덮고, 복잡 모델링이 필요한 심층 연구는 SQL 도구와 병행한다. Dune 문서도 “SQL 기반 엔진·데이터 카탈로그”를 핵심으로 본다.

HubbleAI Research: On-Chain Data & AI Platform
Image Source:X

생태 파트너 & 고객

사이트는 역할별 솔루션(Agent / 지갑&봇 / 퀀트 / 스테이블코인&RWA)을 제시하고, API/MCP를 “데이터 마켓플레이스”에 배포한다. 팀은 약 35개 B2B 고객과 서비스/협의 중임을 공개하고 스스로를 “On-Chain Bloomberg”로 칭한다. 빠른 반복기에 있으므로 고객·제휴 업데이트는 공식 채널을 추적 권장.

최근 진척 & 비교 관점

HubbleAI는 YZi Labs EASY Residency Demo Day에서 NYSE 무대에 올라 “온체인 금융 데이터 인프라” 포지션을 시연했다. Text2SQL, 퀀트 신호, KYT 자금흐름 모듈 등 글도 연달아 발표했다. 비교하면, SQL 플랫폼은 “셀프 쿼리 + 시각화 생태계”를, HubbleAI는 “자연어·실시간·생성형 신호 전달”을 강조해 기관 데이터 스택에서 계층적 보완을 이룬다.

지원 체인 & 확장

현재 Solana, BSC, Base를 지원하며 Ethereum/Tron/Hyperliquid “준비 중.” 고주파 거래 활발 체인에서 더 넓은 자산 지도로 확장 의지를 보인다. 트레이딩 고객에겐 “멀티체인 커버리지 × 실시간성”이 역량 경계의 핵심 척도다.

FAQ

Q1: HubbleAI와 “온체인 블룸버그”의 관계는?
A: 팀은 자신들을 “On-Chain Bloomberg”로 포지셔닝한다—구조화·실시간·질의 가능한 온체인 금융데이터 제공자란 뜻이다.

Q2: 왜 “SQL을 몰라도 된다”를 강조하나?
A: 전통 플랫폼(Dune 등)은 SQL 중심이다. HubbleAI는 Text2SQL/RAG로 자연어에서 쿼리를 생성, 비개발 팀의 사용성을 높인다.

Q3: 어떤 체인을 지원하나?
A: 현재 Solana, BSC, Base—“Ethereum/Tron/Hyperliquid는 곧.”

Q4: 기관 검증이 있나?
A: 공식 자료에 따르면 약 35개 B2B 고객에 서비스/협의 중이며 NYSE Demo Day에서 발표했다.

Q5: 데이터가 리스크/컴플라이언스에 충분한가?
A: 사이트는 Funding Source 추적, 스테이블코인 컴플라이언스 모니터링, RWA 리스크 모니터링, KYT 모듈을 명시—감사·리스크 큐에 투입 가능.

Q6: 기존 리서치 플랫폼과 공존은?
A: 복잡 모델링은 SQL 플랫폼에서, HubbleAI는 “신속 탐색/실시간 의사결정”을 담당—계층적 협업 가능.

핵심 요약

포지션: HubbleAI는 온체인 로그를 구조화된 실시간 거래 데이터로 바꿔 거래·컴플라이언스·RWA를 지원, “온체인 블룸버그”를 지향한다.

기술: 실시간 인덱싱 + Text2SQL/RAG + API/MCP 배포—속도와 사용성의 균형.

생태: Agent/지갑/퀀트/스테이블코인&RWA를 포괄, 다중 포맷 데이터 전달, B2B 성장 지향.

비교: SQL-우선 대비 진입장벽을 낮추고 리서치/집행 효율을 끌어올림(3.5×/2.8×/−65%, 사이트 기준).

Explore More From JuCoin:JuCoin Exchange |Twitter/X |Telegram |Discord |Ghost

Neason Oliver